SF2 ECCR 혼합기체희석 다이버

SF2 ECCR 혼합기체희석 다이버

TDI SF2 ECCR 혼합기체희석 다이버 


TDI SF2 ECCR 혼합기체희석 다이버 과정은 완전폐쇄식 재호흡기(CCR)를 혼합기체로 사용하고자 하는 

레크리에이션 다이버의 중급 과정으로 이 과정의 목표는 레크리에이션 다이버에게 

완전폐쇄식 재호흡기를 사용 혼합기체 재호흡기 다이빙을 하는 경우의 

장점, 위험성 그리고 적절한 절차를 훈련시키는것입니다. 

혼합기체는 산소가 16% 이상 포함되고 완전폐쇄식 재호흡기를 이용해 최대 60m 수심까지 

테크니컬 다이빙에 적합한 재호흡기의 중급 기술을 배우게 됩니다. 


이 과정을 수료하고 나면 교육생은 : 

이 과정을 성공적으로 수료한 다이버는 수심 60m 미만에서 산소가 16% 이상 함유된 혼합기체를 이용하는 완전폐쇄식 재호흡기로 테크니컬 다이빙을 즐길 수 있다. 


이 과정에 참가하기 위해서는 : 

1. 만 18세 이상

2. 최소 50회 이상의 재호흡기 다이빙과 50시간 이상의 재호흡기 다이빙 로그. 그 중에서 절반의 다이빙은 20m 보다 깊은 곳에서 실시한 것이어야 한다. 

모든 다이빙은 9m 이상에서 실시해야 한다. 다이버가 TDI에서 인정하는 다른 기종의 완전폐쇄식 재호흡기로 50시간 이상 다이빙 했다면 해당 과정의 기종으로는 25시간만 사용해도 사전 조건으로 인정된다. 기종 교환 교육을 받는 경우, 12개월 내 10회 이상의 해당 기종 다이빙 로그가 필요하다.

3. TDI 공기희석 재호흡기 감압절차과정(TDI Air Diluent Decompression Procedures Rebreather Course) 또는 TDI 헬리트록스 희석 재호흡기 감압절차과정(TDI CCR Helitrox Diluent Decompression Procedures Diver course) 또는 TDI가 인정하는 타 교육기관의 동등 인증


교육 내용 : 

 강의 내용

 필요한 기술

1. 기체 생리학

2. 공식 계산 연습

3. 다이브 테이블

4. 다이브 컴퓨터

5. 다이빙 계획

6. 장비 관리

 

*육상 기술:

1. 제조사의 매뉴얼에 따라 장비를 조립하고 점검표를 작성한다.

2. 기본적인 수신호와 중급 수신호 숙달

3. 가상의 천장이 막힌 환경과 긴 감압정지에 알맞은 장비를 선택하여 준비한다.

4. 리프트백 전개와 비상 탈출 절차를 팀 단위로 실시한다.

5. 버디 구조 기술

6. 사용할 모든 기체를 적절히 분석한다.

7. 다음 상황에 맞는 다이빙 전 계획을 수립한다.

a. 장비의 성능에 따른 제한

b. 비상 탈출용 기체의 필요량에 따른 제한

c. 선택한 산소 부분압에 따른 노출 제한

d. 수동 조절식 완전폐쇄식 재호흡기의 제한

e. 계획 수심과 산소 부분압을 근거로 질소의 흡수에 따르는 제한

f. 헬륨의 흡수에 따르는 제한

g. 다이빙 계획에 적절한 감압 보수도와 GF 값 설정

h. 정확한 마취 수심 계획과 목표 수심에서 센서 환기를 위한 희석기체 선택.(계획한 최대 수심에서 희석기체의 산소 부분압이 1.2를 넘으면 안 된다)

 

*다이빙 전 기술:

1. TDI 다이빙 전 점검표를 사용하여 다이빙 전 점검을 실시한다.

2. 매번 다이빙하기 전에 S.T.A.R.T* 절차에 따른 점검

3. 스트레스를 분석하고 경감한다.

 

*개방수역 기술:

1. 모든 기술 평가는 인증된 완전폐쇄식 재호흡기 강사가 해야 한다.

2. 긴밀한 의사소통과 팀 단위의 연습을 통하여 버디나 팀원들과의 유대를 보여준다.

3. 부력 조절을 시연; 손이나 발을 쓰지 않고 일정한 높이를 유지한다.

4. 마스크 탈착과 교체, 백업 마스크 사용

5. 30m 이상의 수심에서 장비의 고장으로 인해 다이빙을 중단하고 개방식 기체로 감압, 상승하는 적절한 기술 수행

6. 별도 운반 기체(off-board) 베일아웃 실린더 사용 기술 수행

7. 장비의 고장으로 인해 다이빙을 중단하고 수동으로 감압, 상승하는 적절한 기술 수행

8. 기체 공급 차단 및 고갈, 별도 운반 기체의 적절한 선택과 교체

9. 호스 파열 - 가상 사고

10. 여과통 침수

11. 산소 센서 고장

12. 반폐쇄식 재호흡기 기술 (최소 10분동안)

13. 수심 6m 미만에서 산소 재호흡기 모드로 사용

14. 중성부력을 유지하며 2개의 베일아웃 기체 탈착

15. 하강 도중 수심3~6 m 사이에 정지하여 공기방울 누출 점검

16. 중간 수심에서 리프트백과 수면표시부이 전개

17. 리프트백과 수면표시부이 사용 실패를 가정한 상황 대처

18. 릴과 리프트백을 사용하여 단계적 감압을 2회 다이빙 실행한다.

19. 전자 장치에서 산소 부분압 관찰

20. 적절한 기체를 이용한 센서 점검

21. 사전에 정한 모든 범위 내에서의 적절한 다이빙 실행

22. 사전에 정한 수심에서 안전정지 실시

23. 기절한 다이버를 수중에서 수면으로 이동시키고 수면에 도착하여 최소 50m의 거리를 장비를 제거하며 수영 실시

 

*과정을 완료하고 TDI 완전폐쇄식 혼합기체 재호흡기 인증서를 취득하기 위해서 학생들은 다음과 같은 사항을 실시해야 한다:

1. 모든 제한 수역과 개방수역 기술들을 강사가 만족할 만한 수준으로 숙달

2. 관련된 다이빙 계획과 실행과 관련하여 능숙한 실행과 올바른 판단력을 보여줘야 한다.

3. 필기시험에 80%이상의 점수로 합격

4. 전 과정은 시작일로부터 6주 내에 완료되어야 한다.

5. 과정을 마친 다음 6개월 동안 재호흡기 다이빙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완전폐쇄식 복습 과정을 받아야 한다.

 

 

재호흡기는 수중에서 수심과 시간이라는 관점에서 인간의 행동 반경을 크게 넓혀주며

현대의 전자장비, 이산화탄소 흡수효율의 향상, 체계적인 훈련 등으로 재호흡기의 신뢰성을 높아지고 있습니다.

재호흡기는 다이빙에서 주요 항목으로 급성장했으며 

미래의 레크리에이션 다이빙에서는 재호흡기가 큰 영역을 차지하게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