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F2 ECCR 공기희석 감압 다이버

SF2 ECCR 공기희석 감압 다이버

TDI SF2 ECCR 공기희석 감압 다이버 

 

TDI SF2 ECCR 공기희석 감압 다이버 과정은 완전폐쇄식 재호흡기 (CCR)를 사용하고자 하는 

레크리에이션 다이버의 두 번째 과정으로 이 과정의 목표는 레크리에이션 다이버에게 

완전폐쇄식 재호흡기를 사용하여 최대 수심 40m까지 공기를 희석기체로 이용해 감압 다이빙을 하는 경우의 

장점, 위험성 그리고 적절한 절차를 훈련시키는 것입니다. 


이 과정을 수료하고 나면 교육생은 : 

이 과정을 성공적으로 수료한 다이버는 완전폐쇄식 재호흡기로 다음과 같은 감압 다이빙을 즐길 수 있다.

1. 훈련 받은 조건과 유사한 다이빙

2. 훈련 받은 장소와 유사한 곳에서의 다이빙

3. 훈련 받은 장소와 유사한 환경에서의 다이빙

 

이 과정을 성공적으로 수료한 다이버는 다음의 과정에 지원할 자격을 얻는다:

1. TDI 혼합기체 재호흡기 (Mixed Gas CCR) 과정

2. TDI 어드밴스드 침몰선(Advanced Wreck) 과정


이 과정에 참가하기 위해서는 : 

1. 만 18세 이상

2. 최소 50회 이상의 다이빙 로그. 기종간 크로스오버인 경우, 12개월 내에 최소 10회의 CCR 다이빙

3. TDI 어드밴스드 나이트록스 다이버(Advanced Nitrox Diver)와 감압절차 다이버(Deco procedures diver) 혹은 동등 인증

4. 재호흡기가 TDI에서 승인된 사이드마운트 재호흡기라면 학생은 TDI사이드마운트 인증 또는 동등한 인증을 갖추어야 하고 

10회의 사이드마운트 다이빙 로그를 증명해야 하며, 제조사에서 요구하는 모든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또는

1. 만 18세 이상

2. TDI 공기희석 재호흡기과정(Air Diluent Rebreather Course) 또는 동등 인증

3. 최소 30시간, 30회 이상의 재호흡기 다이빙 로그

4. 최초 완전폐쇄식 인증서 취득 후 6개월 이상의 완전폐쇄식 다이빙 경력


교육 내용 : 

 강의 내용

 필요한 기술

1. 재호흡기의 역사와 진화

2. 개방식, 완전폐쇄식, 반폐쇄식 재호흡기 시스템의 비교와 

각각의 장단점

3. 시스템의 기계적인 실습

4. 기체 생리학

5. 전자시스템 구조 및 관리

6. 다이브 테이블

7. 다이브 컴퓨터

8. 다이빙 계획

9. 비상 절차

 

*개방수역 다이빙을 실시하는 동안 다음과 같은 개방수역 기술들을 완료해야 한다:

1. 모든 기술 평가는 인증된 완전폐쇄식 재호흡기 강사가 해야 한다.

2. 모든 개방수역 다이빙은 수심 9~45m 범위 내에서 실시해야 한다.

3. 20m 보다 깊은 수심에서 2회 다이빙, 30m 보다 깊은 곳에서 1회 다이빙을 실시해야 한다.

4. 장비 제조사에서 요구하는 추가적인 기술을 충분히 완료해야한다.

5. 다이빙 하는 동안 산소 부분압은 제조사에서 초기 부분압으로 설정한 수준 또는 1.3 bar를 초과해서는 안 된다.

6. 모든 다이빙은 CNS 가 80%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실시한다.

7. 항상 수심 6m에서 3분간 안전정지를 실시해야 한다.

8. A.D.V.가 장착된 경우에는 주기적으로 희석기체의 잔압을 확인하는 등의 추가적인 기술을 강조해야 한다.

9. 외부 장착 실린더는 스트레스 상태에서 분당 45.30리터의 속도로 소모한다고 계산한다.

10. 모든 다이빙은 산소 부분압 고정식 감압테이블을 이용하여 수행되어야 한다.

11. 인증 받은 학생은 해당 기종으로만 감압 다이빙을 할 수 있다.

12. 학생은 깊은 수심으로부터 가상의 감압을 포함하여 탈출하는 연습을 해야 한다.

 

*개방수역 기술:

1. 사전 다이빙 점검

a. 장비 준비

b. 이산화탄소 제거 약품 패킹

c. 양압 & 음압 점검

2. 산소 분석기를 이용하여 희석기체와 산소 실린더의 성분을 분석한다.

3. 다음과 같은 사전 다이빙 계획 절차를 실시한다.

a. 장비의 성능에 따르는 제한

b. 선택한 산소 부분압에 따르는 노출 제한

c. 계획 수심과 산소 부분압을 근거로 질소의 흡수에 따르는 제한

d. 다이빙에 적절한 감압 선택

e. 수온에 따르는 제한

4. 비상 절차

a. 마우스피스 숙달 기술

b. 베일아웃(탈출) 기술

c. 기체 공급 차단 및 고갈

d. 호스 파열

e. 여과통 침수

f. 이산화탄소 증가

g. 반폐쇄식 모드

h. 저산소 대응

i. 고산소 대응

j. 호흡순환계 침수

k. 전자장치 고장 또는 배터리 고갈

l. 재호흡기가 고장 났을 경우 적절한 상승절차 실습

5. 부력조절기 (BC), 다이빙복 및 호흡순환계의 부피 조절을 통한 부력조절

6. 하강 도중 수심 3~6 m 사이에 정지하여 공기방울 누출 점검

7. 산소 부분압 (셋포인트) 관찰과 셋포인트 전환

8. 전자조절식 재호흡기가 아닌 경우 셋포인트 수동 조절

9. HUD와 컴퓨터 사용

10. 마스크 탈착과 교체

11. 다이빙 지연을 알려주는 수면 표시부이와 릴의 사용

12. 사전에 정한 모든 범위 내에서의 적절한 다이빙 실행

13. 호흡순환계의 일정 부피 유지

14. 적절한 기체로 센서 점검

15. 다이빙 후 오염 방지와 전염 예방을 위한 장비 청소

 

이 과정이 최초의 완전폐쇄식 과정이라면 다음 사항을 반드시 실시해야 한다.

1. 다이빙 후 장비 청소

a. 마우스피스와 호스들

b. 장비의 청소와 소독

c. 장비 구성요소 점검

2. 장비 유지보수

a. 산소 센서 (Cell) 분리와 연결

b. 마우스피스 분리와 조립

c. 배터리 교환

 

*감압 관련 수중 기술:

1 하나의 베일아웃/감압 실린더를 착용하고 수면과 수중에서 편안하게 이동하는 것을 시범 보인다.

2 수중에서 중성부력을 유지하며 베일아웃/감압 실린더를 탈착을 시범 보인다.

3 수면표시부이/리프트백을 홀로 또는 팀원들과 함께 띄워 올리는 것을 시범 보인다.

4 기체가 매니폴드, 호흡기 1단계, 잔압계, 주호흡기 등에서 분출될 경우에 대응하는 방법을 시범 보인다.

5 가상으로 감압용 호흡기가 자유방출 되는 상황에 대처하는 방법을 시범보인다.

6 감압용 기체로 1분 이상 짝호흡을 실시한다.

7 수심 6m 미만에서 산소 재호흡기 모드로 안전정지를 실시한다.

8 개방식 호흡기를 이용하여 깊은 수심으로부터 감압을 실시하며 가상 탈출

 

*과정을 완료하고 완전폐쇄식 재호흡기 (공기희석) 인증서를 취득하기 위해서 학생들은 다음과 같은 사항을 실시해야 한다:

1 필기시험에 80%이상의 점수로 합격

2 모든 제한 수역과 개방수역 기술들을 강사가 만족할 만한 수준으로 숙달

3 관련된 다이빙 계획과 실행과 관련하여 능숙한 실행과 올바른 판단력을 보여줘야 한다.

4 전 과정은 시작일로부터 6주 내에 완료되어야 한다.

5 과정을 완료한 다음 6개월 동안 재호흡기 다이빙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완전폐쇄식 재호흡기 복습 과정을 받아야 한다.

 

 

공기를 희석기체로 사용해 재호흡기 다이빙을 하고 단계적인 감압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것은 간단한 절차이며 

특히 전자식 완전폐쇄식 재호흡기(ECCR)는 각 감압수심에 따라 

산소부분압 셑포인트를 자동으로 조절해주기 때문에 

감압을 최소화하고 기체 소모를 최소화하는 가장 효과적인 장비입니다.